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ALT.1] 인상파, 모네에서 미국으로 : 빛, 바다를 건너다
    일상이야기/전시회 2025. 3. 10. 10:00
    728x90

    인상파, 모네에서 미국으로 : 빛, 바다를 건너다



    더현대 6층 ALT.1에서 열리는 <인상파, 모네에서 미국으로 : 빛, 바다를 건너다> 전시를 보러 다녀왔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미국 우스터미술관 소장품 중 인상파 유화 원화 53점을 전시한다.

     
    네이버를 통해서 얼리버드로 12,000원에 저렴하게 예매해놨다. 😆


    여느 때처럼 금요일 퇴근 후 방문했는데 크게 붐비지 않아 편안히 감상 가능했다.

    콩스탕 트루아용, <노르망디에서의 사과 수확>, 1850년대
    장 밥티스트 카미유 코로, <행복한 계곡>, 1873년

     

    장 밥티스트 카미유 코로, <빌 다브레의 목가적 장소-연못가의 어부>, 1865~1870년
    샤를 프랑수아 도비니, <욘 강의 다리(저녁)>, 1875년

     
    "여자 표정 진짜 못 생기게 그렸다."라고 생각했는데 귀스타브 쿠르베 그림이라 놀랐던 작품;; 

    귀스타브 쿠르베, <고양이와 여인>, 1864년


    사실주의로 알려진 화가인데....... 🤔 고양이는 진짜 살아있는듯 털 질감이 세밀했다.

    루이 외젠 부댕, <트루빌 항구, 항구 수리> 1890년

     

    알프레드 시슬레, <빨래터>, 1876년

     

    카미유 피사로, <루앙 라크루아 섬>, 1883년

     
    토실토실한 아기와 어머니가 담겨 푸근한 느낌을 준 메리 카사트의 그림. 

    메리 카사트, <벌거벗은 아기를 안고 있는 렌 르페브르(어머니와 아이)>, 1902~1903년

     
    하필 모네 그림 옆에 걸려있어 사람들에 가려지는 그림 ㅎㅎ 근데 빛에 반사된 화려한 색감이 돋보이는 작품이라 한참 서서 봤다. 

    차일드 하삼, <프랑스 정원에서 꽃 따기>, 1888년

     
    이번 전시 대표작 중 하나인 모네의 <수련>. 지금까지 본 수련 중에서 가장 부드럽고 안정된 느낌의 수련이었다.

    클로드 모네, <수련>, 1908년

     
    어머니 그림으로 유명한 제임스 휘슬러의 작품도 왔는데 유명한 화가의 안 유명한 그림 ㅎㅎ

    제임스 맥닐 휘슬러, <장미와 은을 위한 스케치 : 도자기 나라의 공주>, 1863~1864년

     

    알프레드 스티븐스, <어머니>, 1870년경

     

    안데르스 소른, <오팔>, 1891년

     
    미국 화가인 존 싱어 사전트의 그림도 여럿 전시중이다. 

    존 싱어 사전트, <코르푸 섬의 오렌지>, 1909년경

     

    존 싱어 사전트, <물을 나르는 베네치아 여인>, 1880~1882년


    만개한 수국 앞에 앉은 여인의 그림. <카네이션 릴리 릴리 로즈> 참 좋아하는데 이와 유사한 분위기의 그림이었다.

    존 싱어 사전트, <캐서린 체이스 프랫>, 1890년

     

    그린우드라는 낯선 화가의 작품. 전시 마지막에 이번 전시를 위해 제작된 영상 속 큐레이터도 우스터미술관 와서 알게된 작가라고 ㅋㅋ

    조셉 H. 그린우드, <녹아내리는 눈>, 1918년


    사과나무 아래 소들이 평화롭게 노니는 모습이 따스하고 좋았다.

    조셉 H. 그린우드, <사과 밭>, 1903년
    윌러드 르로이 메트캐프, <서곡>, 1909년
    프랭크 웨스턴 벤슨 <카드놀이를 하는 소녀>, 1909년


    카드놀이 중 권태로워 보이는 여인의 표정이 흥미롭다 ㅋㅋ

     

    19세기말 뉴욕 센트럴파크 풍경을 그린 그림. 작은데 엄청 세밀하게 그렸다.

    루터 에머슨 반 고더 <공원에서> 1894년 이전

     
    작가로부터 직접 구매한 작품이라 구매 경위를 작품 앞에 서류도 진열되어 있음

    차일드 하삼, <브렉퍼스트 룸, 겨울 아침, 뉴욕>, 1911년

     
    얼핏 보고 사진인 줄 알았던 그림. 실제로 보면 마차만 도드라지게 나와 보이는 느낌이라 신기했다.

    차일드 하삼, <비오는 콜럼버스 애비뉴>, 1885년


    이번 전시에서 처음 봤는데 너무 좋았던 그림들

     
    이게 습작이라니~~ 세잔 그림 뭐가 좋은지 잘 몰랐는데 이상하게 이 그림이 매력적이었다.

    폴 세잔, <카드놀이하는 사람들 습작>, 1890~1892년

     
    점묘법으로 유명한 폴 시냐크의 그림. 해질녘 풍경으로 추정되는데 화사한 색감에 한번 눈길을 끌고, 점과 점이 만든 형태에 집중하느라 하염없이 보게 되는 작품이었다. 수많은 점을 찍어 완성한 그림이라 얼마나 공을 들여 만들었을까 생각하게 됨

    폴 시냐크, <골프 주앙>, 1896년
    조르주 브라크, <올리브나무>, 1907년

     

    조지 이네스, <숲 속 웅덩이> 1892년
    드와이트 윌리엄 트라이온, <가을의 일몰> 1908~1909년

     
    우스터미술관 관장이 이번 전시작 중 제일 좋아한다는 작품. 다소 심통나 보이는 남자의 모습. 근데 화가 본인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ㅎㅎ 자세히 보면 담배 연기도 폴폴 나오고 있다.

    막스 슬레포크트, <고드람슈타인 정원의 자화상>, 1910년

     
    단장하고 있는 부인과 화가 본인이 거울에 비친 모습을 담은 구도가 재밌다. 거친 붓질로 그림 완성도가 떨어지는 느낌인데? 싶더니만.... 작가가 뇌졸중으로 쓰러진 이후 섬세하게 그릴 수 없었다는 설명을 보니 그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했겠구나 싶어서 뭔가 미안해졌다 ㅎ 

    로비스 코린트, <거울 앞에서>, 1912년
    윌러드 르로이 메트캐프, <튀니지 거리>, 1887년

     
    되게 못 그린 그림이라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르누아르의 그림 ㅎㅎ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아랍 여인>, 1882년
    존 헨리 트와치먼, <옐로우스톤의 급류>, 약 1890~1899년
    드윗 파샬, <허밋 크릭 캐니언>, 1910~1916년

     
    우스터미술관이 비교적 최근에 생긴 사립미술관이라 그런지 소장작품 구입 경로가 명확하니 편안함 ㅋㅋ


    모네 작품 한 개밖에 없고 별로라는 전시회 평만 믿고 환불했으면 후회했을 듯. 차일드 하삼이란 매력적인 화가를 조우할 수 있었고 폴 시냐크 그림 한 점만으로도 올 만했다고 생각함

     

     

    728x9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