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재형저축 만기 연장하기
    똑똑 2021. 10. 19. 12:00
    728x90

    산업&국민 재형저축 계약기간 연장하기



    2015년에 가입했던 재형저축이 드디어 내년이면 만기를 앞두고 있다. 가입할 당시만 해도 언제 7년이 지나가나 싶었는데 생각보다 시간이 빨리 흐르는 듯 하다.

     

    pixabay



    재형저축이란

    재형저축은 서민ㆍ중산층의 재산 형성을 돕기 위해 2014년 3월에 출시된 세제 혜택 저축 상품이다. 재형저축은 최소 7년 이상 가입을 유지하면 이자소득 등에 대해 전액 비과세된다. 추가로 3년까지 연장할 수 있으며 예금, 펀드, 보험 중 하나의 형태를 선택해서 가입할 수 있다.

    다만 연봉 5,000만원 이하 근로자와 종합소득 3,500만원 이하 개인사업자에 한 해 가입할 수 있고, 분기 별 300만원까지 연간 최대 1,200만원만 투자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은행에서 취급하는 예금 상품은 3년 동안 고정금리, 이후부터는 변동금리가 적용되지만 7년 고정금리 상품도 출시됐다.  


    2015년 가입할 당시에는 계약기간이 7년이었는데 그다음해에 서민형 재형저축이 나와서 좀만 빨리 출시되지....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2015년에는 가입 가능했는데....ㅎ



    재형저축 가입기간이 워낙에 길기도 하고, 사람일이 어찌될 지 모르다보니 분기별 가입한도(300만원) 내에서 어떻게 가입해야 좋을까 짱구를 엄청 굴렸다. 재형저축 금리가 은행별로 천양지차다 보니 고민고민 끝에 국민은행, 산업은행으로 나눠 가입했고 그 마저도 산업은행은 5개로 쪼개 들었다 ㅋㅋㅋㅋㅋ

    초기에는 가입한 적금이 많아서 분기별 납입한도에도 못 미치는 적은 금액을 납입했다. 돌이켜보면 넘나 아쉬움ㅜ 그 이후엔 매분기초(1월, 4월, 7월, 10월)에 최대납입한도를 꽉 채워 넣었다!


    1. 국민은행 재형저축
    국민은행 재형저축은 금리가 4.2% 였는데 가입일로부터 3년 후 1년마다 금리가 변경되는 '변동형' 상품이었다. 4.2%+자동이체 우대금리 0.1%까지 가입하고 3년은 고정형대비 변동형이 유리하다고 생각했는데 그 이후 2.7%, 1.5%로 금리가 훅~~~ 하락했다.


    KB스타뱅킹앱에서 재형저축 계약기간 변경이 가능하다. 만기 1영업일 이전까지 3년 이내 범위(1년, 2년, 3년 중 택1)에서 연장이 가능하다. 금리 상승 기조가 있다지만 글쎄......... 1%대 정기예금이야 뭐야;; 일단 가입기간 연장은 하지 않는 걸로~

     



    2. 산업은행 재형저축
    산업은행 재형저축은 최초 4년간 4.5% 금리가 적용되었는데 '변동형' 상품만 출시했었다. 4.5%+급여이체 우대금리 0.1%까지 고정금리가 적용되는 4년은 4.6%라는 고금리 상품이었다. 그 이후 3%, 2.5%, 2%로 역시나 금리가 많이 떨어졌다.



    산업은행 KDB앱을 통해 재형저축 계약기간 연장이 가능하다. 재형저축을 5개나 가입해서 분기별 납입한도가 적은 1개만 기한 연장하기로 했다. ☆★단, 1회에 한하여 변경이 가능하다!!!☆★ 연장 시 신중하게 선택해야 함!!


    전체 계좌조회 화면에서 오른쪽 상단 점 세개를 클릭하면 계좌관리 → '재형저축계약기간연장'을 클릭한다.

     


    그 다음 화면에서 '기한연장' 클릭

     


    1년, 2년, 3년 중 택1하면 된다. ☆★이후 수정 절대 불가!!!☆★

    1년 연장했는데 추가연장x
    3년 연장했는데 기간단축x

     


    하단에 자동이체 연장여부, 중도해지 시 우대금리 미적용에 대한 내용 확인하면 끝!

     


    만기일이 2022년에서 2025년으로 변경되었다! 한번 연장하면 되돌릴 수 없음!!

     

     

    3년 연장을 하면서 무려 10년이나 가입하는 장기납입상품이 되었다 ㅎㅎ
    부디 중도해지 없이 만기 수령이 가능하면 좋겠다

    728x90
Designed by Tistory.